EXHIBITION INFO

TITLE
TANK·ful + RE·volve
탱크 가득 리볼브
DATE
2017. 10. 10 TUE – 11. 11 SAT
10:00 – 17:00 (Lunch Break 12:00 – 13:00)
Monday Closed
VENUE
T4 CULTURE COMPLEX at CULTURE TANK
문화비축기지 T4 복합문화공간
OPENING
2017. 10. 14 SAT – 10. 15 SUN
2 Days Tank Opening Event 10:00 – 18:00
CURATOR
NATHALIE BOSEUL SHIN
CURATOR IN CHIEF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신보슬 
토탈미술관 책임 큐레이터
ARTIST
BANG & LEE
방앤리
CULTURE TANK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41년간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 문화공원입니다.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석유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됐는데,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의 변신을 결정했습니다.
축구장 22개 크기인 14 만m² 부지 가운데에 개방된 문화마당이 자리하고 6개의 탱크가 이를 둘러 싸고 있는 형태로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기존 자원들을 재활용한 ‘재생’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서울의 대표적인 대형 도시재생 랜드마크라 할 수 있습니다. 높이 15m, 지름 15~38m 의 기존 유류보관 탱크 5개 중 4개는 시민을 위한 공연장과 강의실, 문화비축기지의 과거와 미래를 기록하는 이야기관 등으로 변신했습니다. 기존 탱크들에서 해체된 내외장재를 재활용해 신축한 한 개의 탱크는 카페테리아와 원형회의실, 다목적강의실이 있는 커뮤니티센터로 조성했습니다. 상당 부분은 공간쓰임새를 한정짓지 않고, 강연회나 대담,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 것이 문화비축기지의 특징입니다.
2017년 9월 1일(금) 시민에게 개방되고, 10월 14일엔 개원 기념 시민축제가 열립니다. 단순한 문화시설을 넘어 석유와 건설로 대표되는 산업화시대에서 친환경과 재생을 아이콘으로 한 미래로의 도약, 그 상징적 공간이 되도록 시민과 함께 만들고 채워 나가고자 합니다.

The 'Culture Tank' located near Maebongsan in Mapo-gu, Seoul World Cup Stadium, was a cultural park that was strictly controlled for access and use by the general public for 41 years. This was a legacy of the industrial era when the Mapo Oil Tank was closed to the citizens. Built in 1973 after the oil crisis, with five tanks constructed between 1976 and 1978, the Mapo Oil Tank stored 69.07 million liters of oil, enough for Seoul citizens to consume for about a month. Closed for safety reasons ahead of the 2002 World Cup, the facility remained unused for over a decade until it was transformed into a cultural park through urban regeneration in 2013, following a citizen idea contest.
Situated on a 14,000 square meter site, equivalent to 22 football fields, the open cultural square is surrounded by six tanks, all created through 'regeneration' by recycling existing resources. This transformation makes it a representative large-scale urban regeneration landmark in Seoul. Four out of the five original fuel storage tanks, measuring 15 meters in height and 15 to 38 meters in diameter, have been converted into performance halls, lecture rooms, and a storytelling space documenting the past and future of the Culture Tank. The materials from the dismantled tanks were reused to construct a new tank, now a community center with a cafeteria, circular conference room, and multipurpose lecture hall. The flexibility of usage, allowing for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discussions,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is a distinctive feature of the Cultural Tank.
Opened to the public on September 1, 2017, a citizens' festival was held on October 14 of the same year to commemorate its opening. Beyond being a simple cultural facility, it represents a leap into the future characterized by eco-friendliness and regeneration, departing from the industrial era dominated by petroleum and construction, aiming to be a symbolic space co-created and filled by the citizens.
OPENING EXHIBITION
T4 CULTURE COMPLEX

개원의 취지와 의미를 바탕으로 기획된 전시는 석유저장 탱크의 원형이 유지된 장소적 특이성을 해석한다. 바닥에서 천정으로 이어진 여러 기둥과 울림이 강한 T4 내부에는 원형의 공간을 에워싸는 뉴미디어 아트 설치가 자리한다. 재생, 저장, 환원의 의미를 담아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 설치 작품들은 기둥과 기둥, 원형의 동선을 따라 배치된다. 전시 공간에는 방앤리의 복합적인 설치 작품인 ‘노테이션 머신(Notation Machine)’, ‘아레나 투어(Arena Tour)’와 ‘투명한 스터디(Transparent Study)’ 연작 프로젝트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텅 빈 탱크는 빛, 소리, 파장의 순환이 생성하는 새로운 에너지로 채워진다. 비가시적 재료는 데이터 인풋과 신호 제어를 통해 반짝이는 조명, 울려 퍼지는 소리, 관람객의 움직임 등과 반응한다. 다양한 시청각적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참여형 무대와 쉼터가 마련된 전시는 설치 작품들 사이에서 관람자 스스로 움직이는 위치를 발견하고 관점이동을 경험하는 또 다른 관람 포인트를 제공한다.
The exhibition, designed based on the intention and significance of the opening, interprets the spatial uniqueness of the preserved circular form of the petroleum storage tanks. Inside the T4, with pillars extending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and strong reverberation, new media art installations surround the circular space. Divided into three parts representing regeneration, storage, and restoration, the installation pieces are arranged along the columns and the circular path. The exhibition space features a series of complex installation works by Bang & Lee, including the 'Notation Machine', 'Arena Tour', and 'Transparent Study', interconnected organically. The empty tanks are filled with new energy generated by the circulation of light, sound, and waves. Invisible materials react to data input and signal control, responding to sparkling lights, reverberating sounds, and the movements of spectators. A participatory stage and shelter equipped with various visual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provide another viewing point for spectators to discover their own positions and experience perspective shifts among the installation pieces.
ABOUT ARTIST
Bang & Lee는 방자영과 이윤준으로 구성된 2인 컬렉티브이다. 뉴미디어 아트 설치를 바탕으로 전개되어 온 이들의 프로젝트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키네틱 라이트, 센서 기반 악기 등이 등장하는 실험적인 무대와 닮았다. 장소와 상황에 따라 변형되는 설치는 가변적이며 작품의 재배치에 따라 또 다른 면으로 확장되면서 일종의 프랙털 구조를 만든다. 대부분 부조리한 상황이나 모순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주제는 역사적 자료와 허구적 속성을 통합하여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관계, 우정과 협업의 개념을 재해석한 내용으로 반영된다. Bang & Lee의 작업은 독일 카를스루에 ZKM 미디어 아트 센터, 이탈리아 로마 21 세기 국립현대미술관, 프랑스 마르세유 라 프리쉬 벨 드 메, 중국 상해 현대미술관, 백남준 아트센터, 서울시립미술관, 아르코미술관, 아트센터 나비, 대안공간 루프, 토탈미술관 등에서 전시되었다.
Bang & Lee is an artist duo based in Seoul, Korea, specializes in new media art installations. Their projects are characterized by an experimental approach, interactive media art, kinetic light, and sensor-based instruments. These installations are adaptable to various locations and situations, showcasing a dynamic and evolving nature that expands in fractal structure with each rearrangement. Their work often delves into themes of absurdity and contradiction,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media, technology, friendship, and collaboration by integrating historical references and fictional elements. Bang & Lee's work has been exhibited at the ZKM Media Art Center in Karlsruhe, Germany, MAXXI - National Museum of 21st Century Art in Rome, Italy, La Frische Belle de Mai in Marseille, France,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hanghai, China, Nam June Paik Art Center, Seoul Museum of Art, ARKO Art Center, Art Center Nabi, Alternative Space Loop, and Total Art Museum in Seoul, Korea.
관객과 함께 채우는 탱크
방앤리의 < 탱크 가득 리볼브 >
탱크에서는 귀를 쫑긋 세워야 한다. 평범한 소리도 거대한 원통 안에서는 다르게 들린다.
예상치 못한 방향에서 둥둥 반향으로 돌아오기에 가까운 곳에서 나는 소리는 멀게 느껴지는 반면,
탱크 외부의 소리는 작은 빗방울 소리도 탱크를 가득 채운다. 이런 공간의 특성을 제대로 살린 미디어 아트 전시가 열린다.
‘TANK•ful + RE•volve’란 전시 제목은 탱크를 가득 채운 소리의 반향(reverb)을 가리키는 동시에 공간의 재생과 순환(revolve)이란 의미를 담았다.
스트링 패널과 라이브 카메라 등 탱크를 채운 각종 장치는 관객의 소리와 움직임을 포착해 빛과 영상, 소리로 변환한다.
탱크에 울려 퍼지는 소리에 맞춰 조명은 색색으로 빛을 바꾸고 스크린에는 방금 지나간 관객의 모습이 점멸한다.
탱크를 돌다 설치물 사이에 마련된 쉼터에 몸을 누이면 관객은 자신이 관찰자인 동시에 작품을 구성하는 일부임을 알게 된다.
관객의 참여로 매순간 새롭게 구성되는 빛, 소리, 파장, 그리고 에너지가 커다란 탱크를 가득 채운다.
비축생활 창간호
HIGHLIGHT 주목할 만한 시선
2017 가을

Filling the Tank Together with the Audience
— Bang & Lee's “Tankful Revolve”
In the tank, one should perk up their ears. Even ordinary sounds are perceived differently within the giant cylinder. 
Sounds emanating from unexpected directions reverberate back, creating a sense of distance; meanwhile, 
external sounds, even the patter of raindrops, fill the tank. An art exhibition that fully utilizes such spatial characteristics is held here.
The exhibition title, 'TANK•ful + RE•volve,' refers to both the reverberation of sounds filling the tank and the regeneration and circulation of space. 
Various devices, such as string panels and live cameras, fill the tank and capture the sounds and movements of the audience, 
transforming them into light, images, and sounds. As lights change colors and images of passing spectators flash on screens 
in sync with the reverberating sounds, spectators sitting in the shelter among the installations realize they are both observers and part of the artwork. 
Every moment, light, sound, waves, and energy are newly configured through audience participation, filling the vast tank.
The First Issue Culture Tank Life
HIGHLIGHT A Certain Glance
2017 AUTUMN
Notation Machine

2016
LED module, stage automation setup and equipment, sensor control system, computer,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무대자동화기술의 조명제어시스템 프로토콜 연구를 바탕으로 공연, 퍼포먼스, 실험적 무대 연출 프로덕션을 위해 제작한 '노테이션 머신'은 분리된 8개의 현(string)이 한 쌍(pair)으로 구성된 LED 스트링 패널 모듈로 나란히 이어져 있다. 악기의 줄이나 악보의 선처럼 조명 삼각대에 장착된 각각의 스트링은 주변의 여러 사운드 즉, 음악, 노래, 목소리, 노이즈 등 라이브 현장의 신호들에 반응한다. 독립된 라이트 조각인 이 모듈들은 무대 위 퍼포머의 행위, 음악 장치, 악기들과 연동하여 다양한 조명 연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음향과 움직임을 포함한 여러 데이터 변주는 실시간 제어로 자유로운 라이브 전자 음악 환경의 하이라이트가 된다. LED 스트링은 반응형 작품으로 인터랙티브 라이트 아트 설치이면서 무대 조명 연출 장치가 된다. 동시에 전위 음악이나 실험 음악에서 쓰인 개념적 악보를 재해석한 라이브 스트리밍 장치로 여러 표기법이나 기호 표현을 대신하는 악기이자 악보가 된다. 이 프로젝트는 설치 작품과 연계하여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실험적 공연이나 퍼포먼스 등의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제한과 장소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프로덕션으로 발전되고 있다.
Based on the study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protocol of stage automation technology, the "Notation Machine" was manufactured for performance, experimentation, and stage production. It is connected alongside an LED string panel module consisting of eight separate strings as a pair. Like a string of instruments or a musical score, each string mounted on the lighting tripod responds to signals from the live scene, such as ambient sounds, music, vocals, and noise. These modules, serving as independent light sculptures, are designed to facilitate various lighting produ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er's actions, musical devices, and instruments on stage. Several data variations, including sound and movement, become the highlight of a free live electronic music environment with real-time control. The LED string serves as a responsive work installed as interactive light art and functions as a stage lighting directing device. Simultaneously, it acts as an instrument and score, replacing traditional notation or symbolic expressions with a live streaming device that reinterprets the conceptual score typically employed in potential music or experimental music contexts. This project aims to overcome technical and location limitations commonly encountered in experimental performances or events involving different protocols, thereby pushing the boundaries of installation-based works in stage production.

Arena Tour – Machine

2016
Live camera, public domain images, video feedback, various lights with control unit, switches, gold colored steel frame, carpet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아레나 투어'는 여러 모니터와 라이브 카메라 피드백, 실시간 생성 이미지들이 조명 설치 등과 구성된 복합적인 프로젝트이다. 아레나는 원형의 무대, 경기장, 어떤 사건이나 구경거리가 펼쳐지는 장소를 의미한다. 이 프로젝트에서 원형의 공간인 아레나를 재정의하고 현대적 의미에서 전시장의 성격을 아레나의 투어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시도와 실험들이 제시된다. 설치 작품은 전시장 일부를 원형으로 점유하고 관람객이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는 무대가 되어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동선을 따라 가변적인 위치를 만들게 된다. 전시장의 배경이 라이브로 캡처되는 장면이 화면 위에 스위치 되는 가운데 HD 비디오 영상 피드백 반복 재생이 교차한다. 관람객은 작품의 안과 밖을 넘나들며 스스로 정의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 보는 라이브 카메라의 피드백으로 끝없이 생성되고 지연되는 영상의 스크린에 등장했다가 이내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이 작은 아레나의 기계는 에너지의 영구적인 회전과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순환의 과정을 보여주는 일종의 메커니즘, 세계와 연결된 네트워크상의 자기복제성과 반복적인 패턴을 생산하며 마치 어떤 빠져나오지 못하는 굴레 안에 맴도는 이미지, 무한 루프의 재생에서 축적되고 동시에 사라지는 디지털 세상의 단면을 드러낸다.
"Arena Tour" is a multifaceted project comprising several monitors, live camera feedback, and real-time generated images integrated with lighting installations. The term "arena" encompasses a circular stage, stadium, or any venue for events or spectacles. In this project, endeavors and experiments are present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the arena as a circular space and to reinterpret the character of the exhibition hall in a modern context through the method of an arena tour. The installation occupies a section of the exhibition hall in a circular formation, transforming into a stage that visitors can naturally approach. This arrangement allows for variable positioning along the movement line, shaping a circular space. As the live scene from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hall is captur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HD video feedback plays back repetitively, creating intersecting images. Audience members repeatedly appear on the screen amidst the continuously generated and delayed images, captured by live cameras facing each other from defined positions. They traverse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installation before disappearing. This small arena machine unveils a mechanism that illustrates the perpetual rotation of energy and the circulation back into place, as well as self-replication and repetitive patterns across interconnected networks. It offers a glimpse into a digital realm where images hover in an elusive manner, representing a cross-section of the digital world that simultaneously accumulates and dissipates within the reproduction of an infinite loop.

Transparent Study

2008 –
Live camera, video projection, video mosaic and sound, fiber, furniture, various lights with control unit, switches, mixed media
Dimensions variable

'투명한 스터디'는 집안의 서재에 놓인 (예술) 스터디와 그 과정상에 수집된 것, 컬렉션의 진열, 또 레퍼런스 카드의 보관함이 우리의 사적인 공간에서 전시/재현된 공론의 장으로 옮겨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 (The Library of Babel)’처럼 오늘날 디지털 정보 사회의 혼란스러운 일면을 반영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텍스트, 조명, 영상들이 아쌍블라주(assemblage)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장처럼 서 있는 설치는 여러 해석이 가능한 공간으로 확장된다. 분리된 공간을 만들어내는 책장은 벽이 되거나 문이 된다. 내부를 관통하여 안과 밖, 앞면과 뒷면의 구분이 모호한 상태를 재현한다. 화면 위로 떠오르는 이미지, 유리와 거울의 표면에 비치는 내부, 이 투명에 가까운 스크린은 또 다른 장막을 드리운다. 바벨의 도서관에서 도서관, 즉 인류의 지식의 총체는 우주와 영원을 상징하지만 우리는 각자의 경험이 축적된 도서관에서 미궁에 빠진 세상, 혼돈 속에서 신의 문을 통과하고자 헤매는 인간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1) 지금의 도서관은 ‘한정된 글자의 무한한 수열로 채워진 육각형 갤러리’인 바벨의 도서관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투명한 도서관’에 가깝다. 무한한 정보들을 실시간 보여주는 곳. 그 도서관은 투명해서 불투명함이나 혼돈, 거짓된 것은 허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값싼 디지털 저장 장치, 손쉬운 검색, 글로벌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정보의 속성은 망각을 잃어버린 채 급진적인 패러다임의 변화, 즉 투명성을 향해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거의 모든 언어로 모든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이 정보가 투명하다는 신뢰를 바탕으로 지금 인류의 지식체계는 빅 데이터가 지배하는 통제 불능의 감시사회에 기여하고 있다.2)
서재는 개인의 애장 도서가 포함된 공간으로 기억의 장소다. 마치 책장에 꽂힌 책이 조금씩 달라지듯, 우리 나름의 지식과 정보, 레퍼런스와 컬렉션은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 보관 장소의 먼지를 털어내고 새것으로 갈아 끼워진다. 정보의 바다와 데이터의 홍수 속에 우리는 기억/망각의 과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길을 잃고 나열된 정보와 데이터 더미 속에서 가치 있는 지식을 추출해 내는 추상화 과정, 사유의 능력을 점차 잃어버리게 된다. 사회와 분리된 장소, 사적인 개인의 공간, 거실, 서재와 같은 비밀의 방이 모두 투명성을 요구하는 사회와 문화에서 스스로 원하든 아니든 쉽게 외부에 노출된다. 이제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분리된 공간은 일상에 쉼터를 마련해 주지 못한다. 설치에서 재현된 장소는 다분히 연극적이며 이중적인 공간이다. 원래 서재란 은밀한 장소이기에 우리 삶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때때로 변하는 관점 및 가치를 대표하는 지식과 정보의 혼합물로 채워져 있다. 투명한 서재란 이러한 내면의 공간이 겉으로 드러난 상태로 무한한 정보들이 넘실대는 오늘날 정보 사회의 도서관을 뜻하기도 한다. 이 투명한 서재를 관통하는 것의 핵심은 정보의 즉각적인 공개와 공유, 더욱 정교해지는 투명성 요구에 따라 엄청난 양의 데이터나 백과사전적 지식이 사색의 공간을 대신(차지)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서재의 레퍼런스들은 늘 최적화된 훌륭한 스터디의 과정과 최고의 책들로만 구성된 도서 진열을 투명하게 보여주지는 못한다. 이것들은 오히려 일종의 방향성 없는 정보 수집에 관한 기호나 호기심, 지적 허영과 쓸모없이 곧 소멸해 가는 지식을 반영하는 스터디로써 디지털 시대의 원형감옥에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용자의 의미 없는 관심사를 드러낼 뿐이다.
(Bang & Lee, 2014)

1) 히브리어 Babel은 혼란, 무질서란 뜻인데 아시리아어로 Babili는 신의 문(Gate of God)을 뜻하며 Babylon이란 지명도 여기서 유래한다.
2) 인터넷을 지배하는 구글과 같은 기업은 투명성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구글의 투명성 보고서(Transparency Report)는 정보 접근(Access to information)에 관해 “법규와 정책이 인터넷 사용자 및 온라인상의 정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데이터(Data that sheds light on how laws and policies affect Internet user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online)”라고 밝히고 있다. 투명성 강화를 위한 진정서(A petition for greater transparency)에서 밝히듯, 과연 “국가 기밀사항의 수위가 민주사회의 핵심인 기본적인 자유를 훼손(the levels of secrecy that have built up around national security requests undermine the basic freedoms that are at the heart of a democratic society)”하는지는 의문이다.

Notation Machine
on view at celStage KOCCA Seoul

Arena Tour – Machine
on view at GMoMA Ansan

Arena Tour – MoCA Shanghai ver.
on view at Animamix Biennale MoCA Shanghai

Transparent Study
on view at SeMA Seoul


CONTACT
문화비축기지
Culture Tank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02-376-8410
http://parks.seoul.go.kr/culturetank
culturetank@naver.com

공원은 연중무휴, 상시개방합니다.
탱크 이용시간은 오전 10시 ~ 오후 6시이며, 정기 휴관일은 월요일입니다.
프로그램 참여는 개별신청이 필요합니다.
토탈미술관
Total Museum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평창 32길 8
02-379-7037
http://totalmuseum.org/
T4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시간은 오전 10시 ~ 오후 5시입니다.
월요일 휴관, 매일 점심시간 12시 ~ 1시 전시장을 점검합니다.
전시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별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